JINIers
pod scale 본문
사용중인 pod 스케일하기
일단 기존에 있던 pod 확인
kubectl get pod
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
tc-666dc7d777-j42ts 1/1 Running 0 31h
tc-666dc7d777-j4vg5 1/1 Running 0 30h
tc-666dc7d777-r28gv 1/1 Running 0 30h
tc-666dc7d777-tfsh8 1/1 Running 0 31h
tc-666dc7d777-v7fjs 1/1 Running 0 31h
5개나 있다..
이걸 3개로 줄여보자
pod scale
kubectl scale deploy tc --replicas=3
3개로 줄인 뒤에 get pod로 확인한다.
kubectl get pod -w
kubectl get pod
* -w 옵션을 붙이면 실시간으로 pod가 터미네이팅 되는걸 확인할 수 있음.
로드밸런싱 되는지 확인
kubectl exec [pod name] -- curl [cluster IP] -s
* 사용중인 모든 자원 삭제
kubectl delete all --all
'공부 > Docker&K8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OD (0) | 2023.02.17 |
---|---|
GKE와 온프레미스 차이 (0) | 2023.02.16 |
VM에서 쿠버네티스 이용 컨테이너 배포 및 실행(on-prem) (0) | 2023.02.15 |
우분투 환경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(on-prem) (2) | 2023.02.15 |
GKE에서 컨테이너 배포 및 실행 (0) | 2023.02.14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