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INIers
파이썬 함수 정리 1 본문
print () : 괄호 안의 문자를 화면에 출력
* 괄호 안에 "" 가 없으면 에러
input () : 사용자가 키보드로 텍스트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문자열 출력
환경변수 지정? 이라고 생각하면 편함
len () : 문자열 or 문자열이 저장된 변수를 전달하면 그 문자열에 존재하는 문자 개수가 결과로 나옴
그 외 오류
왜이러냐면...
print() 함수가 오류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고 (_______) 괄호 안에 있는 표현식이 오류를 일으키는 것
→ 숫자에 ' ' (따옴표)가 없어서 그렇다.
근데 이렇게 쓸거면 그냥 print ('I am 40 years old.') 라고 쓰는게 낫지않냐..
무튼
이렇게 쓰면 되지만 '40' 이라고 적힌 부분이 변수가 아니고 상수가 되기때문에 변경이 불가능함
▶ 정수를 문자열 형식으로 변경해서 해결
그게 바로 str(), int(), float()
str () : 문자열로 변환 / 정수, 부동 소수점 서 형식의 값을 문자열에 연결할 때 사용
int () : 정수로 변환 / 문자열 형식의 숫자를 수식에 사용할 때
float () : 부동 소수점으로 변환
예 시
>>> spam
'101' // 숫자 X , 문자 O
spam = int(spam) // spam 지정 문자를 정수로 변환
>>> spam // spam 입력
101 // 숫자O, 정수
이제 spam 변수를 숫자로 사용할 수 있음
이렇게 쓸 수 있다.
'공부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 100 day challenge ] Day 2 (1) | 2024.03.15 |
---|---|
[Python 100 day challenge ] Day 1 (0) | 2024.03.15 |
1장 파이썬 기초 연습문제 (0) | 2022.06.11 |
[GCP] flask로 rest api 구현하기 (0) | 2022.05.09 |
파이썬&뮤 편집기 다운로드 및 설치 (0) | 2022.03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