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INIers
aws 패턴별 구축/운용가이드 1주차 본문
국민내일배움카드? 그걸로 신청한 수업이다
책으로 공부하고 주차별로 시험보고 월마다 과제를 제출해야한다.
총 8주차 / 2개월이고 주차별로 학습범위가 정해져있다.
그래서 그걸 따라서 공부하고 홈페이지에 시험 볼 수 있게 되어있어서 시험을 응시하면 됨
난 그것도 모르고 그냥 오리엔테이션 눌렀다가 퀴즈 먼저 다 풀어버렸잖아...

선 퀴즈 후 공부 되시겠다... 핳하..
그래서 공부한걸 정리해서 써볼 것임
하.. 파이썬도 해야하는데..🤦♀️
1주차 1장 AWS 기본(21 ~ 86)
클라우드란?
- IaaS : Infrastructure as a Service
- 가상 서버 or 스토리지 등의 리소스를 인터넷을 기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
- 사용자 : H/W 관리 필요 X, 컴퓨터 리소스 직접 사용
- 물리장치에 가장 가까운 서비스
- PaaS : Platform as a Service
- 미들웨어 서비스
- 데이터베이스,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을 제공
- 관리 : 서비스 제공자
- 사용자 : 미들웨어만 직접 사용
- SaaS : Software as a Service
- s/w or application의 기능 제공
물리서버 - aws 차이
- on premise
- 온프레미스 = 물리서버
- 기존 기업/기관에서 사용하던 물리서버, 네트워크 장치, 전력설비 등을 온프레미스라고 한다.
- 온프레미스 - aws(cloud) 차이점 : owner, capacity
장단점 비교 (tmi : 이 시점에서 코로나 확진을 받아버렸음 염병...)
1. 초기비용
- 온프레미스 : 여러 물리장치 구매비용 발생
- 클라우드 : 물리장치 구매 필요X, 구매비용 발생 X, 과금에 따라 비용이 분산되어 발생
2. 조달기간
- 온프레미스 : 당연히 구매 했으니 조달기간이 최소 n주 이상
- 클라우드 : 필요없음, 웹브라우저, 콘솔, 프로그램 등에서 호출하면 몇분내로 완성 쨔란
3. 스케일업, 스케일아웃(scale-up, scale-out)
- 온프레미스 : 서버 자체를 새로 구매해야 할 수 있기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매우 많이 듦
- 클라우드 : 가볍게 슥삭슥삭 변경가능
capacity 설계
- '소유와 사용'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이 다름
- 온프레미스 : 서버조달, 추가/변경으로 인한 기간↑, 비용↑, 필요한 자원에 맞춰 준비해야함
- 클라우드 : 자원의 추가/변경이 쉬움
렌탈서버(공유서버)와 클라우드의 차이
렌탈서버의 사용형태
- 렌탈서버 = 호스팅서버, 공용서버
렌탈서버의 문제점
1. 낮은 자유도
2. 보안문제
3. 다른 사용자의 영향
⇒ 해결 : 전용서버, 가상전용서버
가상전용서버
- 관리자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계정을 사용
- 자유도가 높고 보안도 스스로 관리
클라우드와 렌탈서버의 차이
는 대충 읽어봄
Elastic Compute Cloud(EC2) = VM instance
Elastsic Load Balancing(ELB) = google Load Balancing(LB)
auto scaling : 자원을 자동으로 늘리고 줄일 수 있는 서비스 / 보통 ELB랑 같이 사용함
Simple Storage Service(S3) : 온라인 스토리지 서비스
Glacier : 데이터 보관 서비스
Elastic Block Store(EBS) : EC2 인스턴스에서 사용하는 스토리지 / 스토리지 이미지를 스냅샷 형식으로 보관
Relational Database SErvecie(RDS) : 데이터베이스 PaaS
...
추가 천천히
'공부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Builders Korea Program 참석증명서 (0) | 2022.07.13 |
---|---|
Linux Shell이란? (0) | 2022.06.13 |
220608 AWS 패턴별 구축 운용가이드 8주차 평가 (0) | 2022.06.08 |
CI/CD란 (0) | 2022.04.12 |
[Dell] VxRail 정리 (0) | 2022.03.24 |